2014.12.09 05:30

아침편지-시계

(*.13.195.167) 조회 수 26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계.jpg

이태영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요즘 젊은 사람들은 시계를 거의 안 차고 다닙니다.

휴대폰에 시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 같은 구세대는 시계를 안 차면 왠지 허전합니다.

13년 전에 절친이 미국을 방문한 기념으로 시계를 하나 사줬습니다. 이름하여 세 O코,

건전지가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태엽을 감는 것도 아닙니다. 그냥 차기만 하면 저절로 가는

시계입니다. 그전까지만 해도 건전지를 갈아 끼거나 태엽을 감거나 했던 시계였고 시계 줄도

여름이면 땀이 차서 손목이 까맣게 되기 일쑤였습니다. 그런데 이 시계는 달랐습니다.

땀이 차도 까맣게 된 적이 없고 차고 나면 불편을 전혀 몰랐습니다.

한동안 안 차고 있어서 죽었다가도 차기만 하면 가니 이렇게 신기한 일이 어디 있을까요?

그러던 것이 십 여 년이 지난 작년부터 잘 안 맞기 시작했습니다.

그래도 흔들어 주면 가는 시늉이라도 하더니 이제 노쇠해서 그나마도 힘들다고 아예 강짜

데모라도 하듯이 나 잡아먹어라 합니다.

시간이 늦게 가도 그동안 쌓은 정도 있고 안 차면 서운해서 차고는 다니는데 어떤 때는 시계만

믿다가 낭패를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 후로는 못미더워서 휴대폰과 함께 동시 상영 하기도

합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완전 제멋대로 서서는 “형님 나 힘드오.”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한국 갈 때는 아예 데리고 가지도 않았습니다. 여행을 하면 잠자리도 일정치 않고 될 수

있으면 짐도 줄여야 하니 이참 저참 신경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남대문 시장을 갔다가 시계수리점이 있는 걸 보고 ‘아, 가져 왔으면 수리라도 맡겨볼 걸.’ 하는

후회가 살짝 들었습니다. 11월 이야기입니다.

 

12월 7일, 피로연이 끝난 다음 날에 시계가 생겼습니다.

이번 피로연에 참석했던 사돈이 무슨 이유인지  제 시계가 고장 난 걸 알지도 못 할텐데

아내가 귀뜸 했을 리도 만무한데 시계를 샀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시계 없이 휴대폰 시간만 의지하고 살 팔자인가 보다 하고 포기하고 있었는데 시계가

생겼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1881년부터 시계를 만들어 온 시계 전문 회사 제품 이었습니다.

작은 신음에도 응답하는 신의 세미한 간섭하심에 또 한 번 경이로움을 찬양 합니다.


  1. 아침편지- 난 참 바보처럼 살았군요

    <문봉주 / 하늘소리 편집장> 갑자기 ‘바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 밤새 고모부와의 인터뷰 기사를 드디어 탈고하면서 고모부가 하던 말씀이 생각나서요. “난 참 바보처럼 살았어. 난 바보야” 그래서 또 이 노래가 생각났습니다. 1980년대 벙거지 모자...
    Date2014.12.04 By관리자 Views2657
    Read More
  2. 아침편지-우산

    <하늘꽃 피터 장길문 찾고; 문봉주 덧쓰다> 삶이란 우산을 펼쳤다 접었다 하는 일이요. 죽음이란 우산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 일이다. 성공이란 우산을 많이 소유하는 일이요. 행복이란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일이고 불행이란 아무도 우산을 빌려주지 않는 ...
    Date2014.12.05 By관리자 Views3647
    Read More
  3. 아침편지-무릎 꿇는 낙타처럼

    <글: 말씀과말; 문봉주 덧쓰다> 낙타는 하루를 시작하고 마칠 때마다 주인 앞에 무릎을 꿇는다고 합니다. 즉, 하루를 보내고 일을 끝마칠 시간이 되면 낙타는 주인 앞에 무릎을 꿇고 등에 있는 짐이 내려지길 기다리며 새 날이 시작되면 또 다시 주인 앞에 무...
    Date2014.12.08 By관리자 Views3317
    Read More
  4. 아침편지-시계

    이태영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요즘 젊은 사람들은 시계를 거의 안 차고 다닙니다. 휴대폰에 시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 같은 구세대는 시계를 안 차면 왠지 허전합니다. 13년 전에 절친이 미국을 방문한 기념으로 시계를 하나 사줬습니다. 이...
    Date2014.12.09 By이태영 Views2657
    Read More
  5. 아침편지- 글에는 마음씨가 있습니다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고운 글은 고운 마음씨에서 나옵니다. 고운 마음으로 글을 쓰면 글을 읽는 사람에게도 고운 마음이 그대로 옮겨가서 읽는 사람도 고운 마음이 되고   하나 들 고운 마음들이 모이면 우리 주위가 고운 마음의 사람들로 가득 ...
    Date2014.12.10 By이태영 Views2539
    Read More
  6. 아침편지-별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지상에서 심은 씨앗 중에 가장 멀리 심은 것이 별이다. 떡잎 자라듯 가슴이 풋풋해지는 밤 오늘도 어느 별에서는 꽃이 피고 있다.   -박영신-   굿모닝~!!!!!! 발상의 자유로움은 예술가의 특권이지요. 샤갈이라는 화가가 ...
    Date2014.12.11 By이태영 Views2483
    Read More
  7. 아침편지-그늘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담쟁이가 뜨개질을 한다 이쪽 하늘과 저쪽 하늘을 끌고 와 벽을 엮는다 푸른 이파리끼리 서로 손을 잡고 허공에다 척척 고리를 건다 손가락이 부르트도록 뜨개질을 하는 저 담쟁이들 한 코도 빠뜨리지 않고 한 계절을 열심...
    Date2014.12.12 By이태영 Views2754
    Read More
  8. 아침편지-스치다

    이태영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달리는 차 안에서 밖을 보면 산과 산의 부드러운 능선이 끝없이 이어져 흐르는가 싶을 때 나지막히 산이 품은 호수를 만나게 되지 하지만 만났는가 싶을 땐 이미 호수는 시야에서 사라져 버리곤 해   스친 것들에선 향기가 ...
    Date2014.12.13 By이태영 Views2658
    Read More
  9. 아침편지-환승역

    이태영목사(하늘소리문화원장)   지하철 입구마다 블랙홀로 빠져가는 사람들   땅속 계단이 끝나는 자리쯤 만나는 또 다른 길 하나 저마다의 갈 길을 저울질 하며 금속성 불빛이 눈에 시리다   신경줄처럼 이어진 세상과 또 다른 소통의 통로 나무의 물관부를...
    Date2014.12.16 By이태영 Views2661
    Read More
  10. 아침편지-마음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우리 서로 눈이 마주칠 때 사랑을 읽어야지   우리 서로 마음이 합칠 때 믿음을 읽어야지   사랑과 믿음이 이어줄 때   깊고 오랜 세월을 간직하며 살아야지   -조병무-   굿모닝~!!!!! 사람의 인연은 참 묘한 것이어서 어...
    Date2014.12.17 By이태영 Views28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64 Next
/ 6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