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188.170) 조회 수 35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랑.png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소설 <빙점>을 쓴 일본인 여류 소설가 고(故) 미우라 아야코의 남편 미우라 미쓰요 씨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일본 홋카이도 북부의 중심 도시 아사히카와(旭川)에서 아야코와 함께 지냈던 그

집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생전의 아야코가 밤늦게 앉아 소설을 쓰던 다다미방에서 그와 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에게 “사랑이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미쓰요 씨는 “사랑은 어떤 환경 속에서도 타인을

행복하게 해 주겠다는 의지.”라고 답했습니다. 울림이 있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란 질문에 많은 분들이 “사랑.”이라고 답했습니다.

저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에 소개된 17인의 멘토들도 한결같이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습

니다. 그런데 그들이 이야기하는 사랑은 추상명사가 아니었습니다. 살아 있는, 생생한 동사였습니다.

소설가 서영은 선생은 사랑을 동사로 표현하면 '치러 내다' 혹은 '감당하다'가 된다고 했습니다.

육신은 물론 마음까지 잡혀 주는 것, 상처 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 마음의 칼자루를 끝까지

내주는 것이 바로 '치러 내는' 사랑을 하는 사람의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자기가 다치게 됐을 때,

피하지 말고 그대로 당해 주는 것이 치러 내고, 감당하며, 피 흘리는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고은 시인은 “사랑이라는 말은 무진장 참고 참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을 때 한마디씩 나오는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물이 흐르다 막다른 벼랑에 미쳐 도저히 흐르지 못할 때에 아래로 쏟아져 버리듯,

사랑은 참다못해 폭발하는 언어가 되어야 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민주화운동을 하다 감옥에도 간

한완상 전 부총리는 사랑이야말로 모든 희망의 기초며, 죽음보다 강하다는 것을 체험적으로 알게

됐다고 했습니다.

멘토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사랑은 결코 함부로 남발될 언어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지금 치러 내는, 감당하는 사랑을 하고 계십니까?

- 이태형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 저자, 《국민일보》 선임기자)-

 

굿모닝~!!!!!

세상에서 가장 흔한 말이 사랑이면서 가장 바르지 못하게 쓰이는 말도 사랑입니다.

미개한 나리일수록 단어수가 많지 않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단어수가 많고 형용사 표현은 얼마나 다양한지 파생어까지 다루면 이 세상이라도

둘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사랑이라는 단어는 하나입니다.

영어의 근간이 되는 희랍어는 사랑을 네 가지로 표현합니다.

영화나 노래의 주제가 되는 남녀 간의 사랑을 표현하는 에로스가 있고,

부모와 자식 간의 혈연적이고 헌신적인 스토르게가 있으며,

친구나 이웃과의 다른 말로는 우정이라고 표현되는 필레아가 있고,

신이 우리를 사랑하는 아가페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사랑이라는 표현을 죽기보다 어려울 만큼 아끼는 분도 있고

어느 분은 너무 남발해서 이게 사랑인지 보통 명사인지 분간이 안 갈 정도인 분도 있습니다.

말을 아끼고  참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서 흘러나오듯 한마디 하는 사랑,

그런 마음으로 사랑해야겠습니다.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입니다.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