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부모들의 모습.jpg


<박현수 목사 / 에버그린커뮤니티교회>

 

이제는 제법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면서 시카고의 여름이 지나간다. 물론 늦더위가 한 두번 기승을 부리겠지만 마음은 벌써 가을을 준비하는 때가 되었다. 가을만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들의 새로운 학기가 이번 주부터 시작되면서 방학 내내 늦잠 자던 아이들이 아침 일찍부터 학교에 가느라고 고생이 많을 것이다. 많은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로 보내면서 여러 가지 걱정이 많이 있을 것이다. 이번 학기에 공부하는 것이 어렵지는 않으려는지, 혹시 나쁜 친구들을 만나지는 않으려는지 등의 걱정들이다. 아무래도 부모들에게는 자녀에 관한 일들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특히 이민 1세 부모들은 이곳 이국땅에서 이민자로 살면서 모든 소망을 자녀들에게 두고 열심히 희생하면서 자녀들을 위해서 최선의 것을 해주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부모들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어떤 때는 남의 아이들 같다는 생각도 든다. 2세 자녀들의 눈에 비쳐지는 1세 부모님들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1세 부모님들은 자녀들과 hug을 절대로 하지 않는다. 매일 한국 드라마를 빼놓지 않고 본다.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자녀들의 이름을 크게 부른다. 무엇을 가져오라고 많이 시킨다. 다른 인종들, 특히 흑인들에 대해서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학교 성적을 99점을 맞아도 칭찬하기보다 나머지 1점이 어디 갔냐고 물어본다. Harvard, Yale, Stanford와 같은 명문대학을 선호한다. 의대나 법대를 지원하는 것은 거의 필수이다. 배우자를 은근히  정해주려 한다.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숙제 다 했냐?'는 질문이다. 가끔 방을 살펴본다. 다른 집 아이들과 자주 비교를 한다.

 

그리고 자녀들이 부모들의 마음에 흡족한 자녀가 되기 위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SAT 시험에서 적어도 2,100점을 맞거나 ACT 30점 이상을 받는다. 가장 즐겨 하는 취미가 공부하는 것이다. 동부에 있는 Ivy League 대학에 입학하고 장학금은 필수로 받는다. 피아노와 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적어도 하나를 반드시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 의사와 같은 전문 직업을 가져야 한다. 의사가 될 경우 가능하면 brain surgeon이 되면 더욱 좋다. 부모님들의 옛날 이야기를 열심히 듣는다. 특별히 운동화도 없이 20리길을 걸어서 학교를 갔던 얘기나 먹을 것이 별로 없어서 옥수수 한 개로 동생과 나누어 먹었다는 등의 그러한  이야기를 열심히 듣는다. 부모의 말씀에는 항상만 한다. 교회에는 열심히 나가지만 절대로 신학교는 가지 않는다.

 

불행스럽게도 이런 모습들이 2세들의 눈에 비쳐지는 1세 한국 부모들의 모습이다. 우리 자녀들이 부모님들에게 가지고  있는 인상은 자신들을 위해서 모든 것을 희생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 아니다. 오히려 자기들을 이해해 주지 못하고, 공부 밖에는 모르고, 항상 자기들을 남들과 비교하고, 자기들에게 최고가 되라고 강요하고, 좋은 대학과 직장과 같은 세상에서의 성공만을 바란다는 것이다. 이런 부정적인 부모의 모습이 우리 자녀들에게 있다. 우리 1세 부모들은 왜 이런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주게 되는 것일까?

아무리 부인하려고 해도 한국인의 문화는 유교 문화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불교 문화도 아니고 기독교적인 문화는 더더욱 아니다.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유교 문화가 우리 한국인의 마음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우리들의 부모 세대들과 지금의 우리 세대들은 어려서부터 항상 내 자신의 내면보다는 남을 의식하는 체면 문화 속에서 자라왔다. 어쩌면 그러한 체면 문화를 전혀 의식하지도 못하고 자랐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우리들의 자녀들에게도 그러한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이다. 어떻게 해서든지 세상에서 출세를 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자랑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입신양명 (立身揚名)이라는 말 바로 그대로이다.

바로 이런 문화적인 유산을 우리도 모르게 2세 자녀에게 물려주려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녀들은 이런 모습들에서 숨이 막히려고 한다. 이제는 우리들의 자녀들에게 우리들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때이다. 아니 어쩌면 늦었을 수도 있다. 그래도 지금이라도 아이들이 마음껏 숨을 쉴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들을 이해하고 포용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이제 세상은 공부만 잘하고 자기 자신밖에 모르는 사람을 더 이상 원하지 않는다. 좀 공부는 못하더라도, 좀 유명한 대학은 나오지 않았더라도 인격이 있고 세상을 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있는 넉넉한 사람을 원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부모들이 이제는 아이들의 숨통을 조르고 있는 손을 그만 놓아야 할 때가 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한국사람이면 고추장을 먹어야지 file skyvoice 2013.12.19 1520
146 하나님의 시간 file 관리자 2014.09.24 1084
145 청소년칼럼-라면 먹을래? 1 file skyvoice 2014.03.01 1475
144 청소년칼럼-Never mind! 2 file skyvoice 2014.03.14 1549
143 청소년교육칼럼: 예쁜 손, 미운 손(?) file 관리자 2014.06.03 1436
142 청소년교육칼럼: On-Demand file 관리자 2016.01.28 769
141 청소년교육칼럼-퓨전 문화 file 관리자 2014.06.18 1299
140 청소년교육칼럼-크리스천의 데이팅 file 관리자 2014.09.16 1032
139 청소년교육칼럼-조기 교육의 참 의미 file 관리자 2015.02.26 1393
138 청소년교육칼럼-자녀와의 갈등 file 관리자 2014.09.25 1185
137 청소년교육칼럼-자녀에게 상처를 입히는 방법 file 관리자 2014.07.25 1421
» 청소년교육칼럼-자녀들의 눈에 비쳐지는 1세 부모들의 모습 file 관리자 2014.09.08 1147
135 청소년교육칼럼-운전 가르치기와 잔소리 file 관리자 2015.05.01 1329
134 청소년교육칼럼-공부하는 방법 file 관리자 2015.04.04 1130
133 청소년교육칼럼-감정 표현 file 관리자 2015.12.14 858
132 청소년교육칼럼-“화장실 같이 갈까?” file 관리자 2014.06.27 1245
131 청소년교육칼럼-“Back to school” file 관리자 2014.08.09 1280
130 청소년교육칼럼-Test Drive와 무면허 운전 file 관리자 2014.12.03 1284
129 청소년교육칼럼-He's 공부ing. file 관리자 2015.02.07 1237
128 청소년교육칼럼-Drug Dog file 관리자 2014.11.19 11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