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188.170) 조회 수 28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숙자.png

이태영 목사 (하늘소리 문화원장)



 




불우 이웃 돕기 모금 공연 때문에 부산역에 발이 묶인 게 벌써 13년째다. 쓰레기통 속 오물을


주워 먹던 노숙인을 위해 시작한 길거리 배식, 노숙인의 억울한 사연을 듣고 발 벗고 나서서


도운 일……. 참 많은 경험을 했다. 그중 한 토막을 소개할까 한다.



 





3년 전 일이다. 대전에 사는 한 아가씨가 나를 만나러 부산에 왔다고 전화했다. 사무실 앞에서


몇 시간째 기다렸다는 말에 지금 대구에 있으니 부산으로 출발할 때 연락하겠다며 전화를


끊었다. 부산역에 도착하니 밤 아홉시, 사무실 앞에서 한 아가씨가 서성이는 모습이 보였다.


“안녕하세요. 강수경(가명)이에요. 늦어서 가 봐야 해요. 집에 도착하면 전화할게요.”


아가씨는 다짜고짜 편지 봉투를 내밀더니 부산역을 향해 뛰어갔다. 봉투를 뜯어보니 만 원짜리


열 장이 있었다. 영문을 몰라 수경씨에게 전화하니 “저 모르시겠어요?” 하고 물었다. 사연인즉,


수경씨는 8년 전 어머니와 별거 중인 아버지를 만나러 외할머니와 부산에 왔단다. 그러나


아버지의 외면으로 다시 경주로 가야 했다. 차표를 끊고 남은 돈이라곤 역에서 집에 갈 버스비


뿐이었다. 수경씨와 외할머니는 두 끼를 굶은 채 부산역 광장 벤치에 앉아 기차 시간을 기다렸다.


그런데 어둑어둑해지자 몇몇 노숙인이 라면을 끓이더라는 것이다. 길거리 배식 당시 밥이


모자라면 라면을 끓였다. 배를 곯던 손녀와 외할머니의 사정을 들은 사람들은 자신이 먹기에도


부족한 라면을 덜어 줬단다.



 




그제야 나를 힐끔힐끔 보며 라면을 깨작거리던 꼬맹이가 기억났다. 심부름시켜 사온 삶은달걀


세 개와 우유 두 개, 만 원짜리 지폐를 주며 “훌륭한 사람 되어서 갚아라.” 하고 말했단다.


수경씨는 유학 갈 날이 가까워질수록 끝내지 못한 숙제 때문에 마음이 무거웠단다. 그러다


《예술 밥 먹는 사람들》이란 책에서 기타를 연주하는 내 사진을 본 뒤 아르바이트로 모은 돈을


쥐고 부산으로 왔다고 했다. 나는 봉투에 든 십만 원으로 한 장애노숙인의 주민등록을 살리고


장애인 복지카드를 재발급 받아 생활 보호 대상자가 되도록 도왔다. 덕분에 그는 6년 동안의


거리 생활을 청산했다. 세월이 흐르는 동안 외할머니는 돌아가시고 부모의 이혼과 재혼으로


많이 힘들었다는 수경씨를 다시 볼 수 있을까?



 






-이호준 님|실직노숙인조합 위원장-



 






굿모닝~!!!!!!


은혜를 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요. 작은 것에도 감사한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요.


얼마 전에 교회에서 어떤 분한테 인사를 들었습니다. 교회 식당에 그림을 걸어 줘서 고맙다구요.


그리고 보니 까맣게 잊어버린 일인데 교회를 신축하고 하얀 벽이 너무 썰렁해서 제가 갖고 있던


그림 10점을 교회 식당에 걸었습니다. 제법 규모가 있다 보니 작은 그림으로는 안 되어서 큰 그림


으로 걸었고 분위기를 살리느라고 꽃그림 위주로 걸었던 것입니다.


그림액자 수집이 취미여서 있던 것에서 걸었던 것뿐인데 칭찬을 받으니 “ 아 그렇지..내가 그림을


걸었구나.” 하며 기억이 되살아납니다. 벌써 2년 지난 일이기에 잊어 버리고 살았던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감사할 때 감사를 하지 않는 사람을 보면 정이 다 떨어지려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수입에 반을 꼬박꼬박 아내에게 주었습니다. 나머지 반을 가지고 아파트 비를 지출


하고 그 나머지를 용돈으로 썼습니다. 어느 날 언쟁이 벌어지다 “내게 해준 것이 뭐 있어” 하는


아내의 소리에 “수입의 반을 주었잖아” 하니까 “그까짓 얼마?”


하는 소리에 깊은 상처를 입었답니다. 수입이 얼마 되지 않아도 수입의 반을 준 것은 큰 것입니다.


우리는 작은 것에 감사를 잊어버리고 삽니다.


 감사의 계절에 감사의 조건을 찾아서 감사를 드려야겠습니다.


  1. 아침편지-그 사람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진정한 감사란, '그 사람' 자체를 감사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훌륭한 사람이 되어줘서도 아니고, 근사한 선물을 주어서도 아닙니다. 그저 나의 곁에 존재해주기 때문에 감사한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 사람에게 감...
    Date2014.10.10 By이태영 Views2822
    Read More
  2. 아침편지-내려놓음

    김흥균권사/하늘소리 발행인 가을의 소리는 사브작 사브작 스치는 바람결 따라 우리 맘속에 들어옵니다. 수확의 계절인 가을을 맞이해 자신을 돌아보니 이렇다할 만한 결실을 맺지 못하고 마음만 바삐 지냈던 것 같습니다. 나름대로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Date2014.10.08 By관리자 Views2747
    Read More
  3. 아침편지-더 단순하게 살아라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하루 24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져 있지만 너무 많은 과제와 일정이 넘쳐나고, 작은 틈새 시간이라도 발견되면 새로운 계획을 잡다 보니 우리의 삶은 시간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프레젠테이션은 내일모레까지 ...
    Date2014.10.07 By이태영 Views2545
    Read More
  4. 아침편지-친구

    <문봉주 / 하늘소리 편집장> 지난 주말엔 갑자기 그동안 담을 쌓고 지내던 옛 친구들을 온라인상으로 만나게 되어 오랜만에 가슴이 훈훈했던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요새 ‘밴드’라는 온라인 그룹이 있어서 옛날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친구들이 다시 만나...
    Date2014.10.06 By관리자 Views3811
    Read More
  5. 아침편지-무엇이 성공인가

     이태영 목사 (하늘소리문화원장)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현명한 이에게 존경을 받고 아이들에게서 사랑을 받는 것   정직한 비평가의 찬사를 듣고 친구의 배반을 참아내는 것   아름다움을 식별할 줄 알며 다른 사람에게서 최선의 것을 발견하는 것 ...
    Date2014.10.05 By이태영 Views2600
    Read More
  6. 아침편지-시작은 늘 작은 법이다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그대 아는가? 525km의 장구한 낙동강도 시작은 작은 못이라는 것을.   태백 황지 연못에서 시작한 물줄기는 경상북도와 남도를 거쳐 부산 을숙도에서 남해로 유입된다. 멈추지 않고 흐르는 물은 결국 거대한 강물이 되는 것...
    Date2014.10.04 By이태영 Views2767
    Read More
  7. 아침편지-엄마는 중학생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도털(daughter), 닥털(doctor), 해버나이스데이(have a nice day).” 57세인 엄마는 오늘도 정체를 알 수 없는 격한 영어 발음을 자신 있게 내뱉으신다. “오늘 학원에서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거야. 넌 내 딸이니까 도털(dau...
    Date2014.10.03 By이태영 Views2973
    Read More
  8. 아침편지-수확

    -- 충청도 아산에 계신 울 할아버지가 농사 지으신 고구마 수확; 호박 고구마 인가? 맛나 보이네...; 불 피워 고구마 직접 찌시는 할아버지. 저 가마솥이 얼마나 오래 되었을까-- <문봉주 / 하늘소리 편집장> 금년도 이제 세달 남짓 남았습니다. 이곳 시카고...
    Date2014.10.02 By관리자 Views2559
    Read More
  9. 아침편지-다시마

    다시마김흥균 권사/하늘소리 발행인 빨리, 그리고 간편하게… 현대인들은 인스턴트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급속도로 변해가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잡으려면 즉석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인스턴트 생활에 익숙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스마트 폰 ...
    Date2014.10.01 By관리자 Views2533
    Read More
  10. 아침편지-그때 그 소녀

         이태영 목사 (하늘소리 문화원장)   불우 이웃 돕기 모금 공연 때문에 부산역에 발이 묶인 게 벌써 13년째다. 쓰레기통 속 오물을 주워 먹던 노숙인을 위해 시작한 길거리 배식, 노숙인의 억울한 사연을 듣고 발 벗고 나서서 도운 일……. 참 많은 경험을 ...
    Date2014.09.30 By이태영 Views28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64 Next
/ 6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