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몇학교지원.jpg

 

<앤젤라김 / 유학-교육 컨설턴트>

 

11 1일에 대학 조기 지원 마감일을 앞두고 이미 최종적으로 지원할 학교의 리스트를 정해 놓은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아니면 1 1일 이후에 지원을 시작하는 학생들은 아직도 지원할 학교의 리스트를 정하는 일을 하루, 이틀 미루고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상담을 하다보면 몇 학교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좋냐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사실상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학생에 따라 형편이 다 다를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지원 학교 숫자에 대해 말씀을 드리려고 하는데 단지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닌 일반적인 조언임을 염두에 두시고 읽으시기 바랍니다.

단지 두 학교 정도 지원하는 학생을 봤는가 하면 스물 두 학교에 원서를 넣는 학생도 본 적이 있습니다. 지원 학교 수가 너무 많으면 일이 보통 많은 것이 아닙니다. 지원 준비에 치어서 학교 성적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평균 잡아 7학교 내지 10학교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학교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그 학교를 어떻게 결정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물론 학교 이름이 좋아서, 또 친구가 좋아서, 날씨가 따뜻해서, 그런 이유로 학교를 결정하지는 말아야겠지요.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지원할 학교 모두 어디로 가게 되든지 가서 행복할 학교를 선택해야 하겠습니다.


우선 갈만한 학교들을 15학교 정도 리스트를 만들어 놓고 그 다음부터는 학교 웹사이트, 카다로그 등, 각종 자료를 분석해서 위치, 학생 수, 학교의 규모, 희망 전공 과목의 유무, 랭킹, 취업률, 학생들의 만족도, 자신의 성격, 취업률 등을 고려하면서 추려 나갑니다. 그리고 물론 학생의 학교 성적, 표준 시험 (SAT, ACT ) 성적 등의 자료들과 비교해서 합격 가능성이 있는 학교에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요새는 많은 학교들이 그 학교 졸업생들의 진학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해서 대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이 그 자료를 토대로 합격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Naviance와 같은 시스템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 웹페이지에 로그인해서 학교 이름을 넣으면 어떤 성적의 학생들이 몇 명 합격했는지 그래프로 나오기 때문에 학생의 합격 가능성을 가늠하기가 훨씬 용이해 졌습니다. 학교에 그런 시스템이 없다면 지원하려는 학교의 홈페이지에서 학교 프로필, 혹은 신입생 프로필에서 데이타를 볼 수 있습니다.  작년 신입생 평균 SAT성적이 몇 점이었는지, 학교 성적은 몇 점이었는지 등이 나와 있습니다. 그 점수와 학생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합격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최종 리스트를 만들어 나가되 지원 학교를 세 그룹으로 만드십시오.


드림 스쿨(Reach Schools)을 세 학교 정도 정합니다. 성적이나 SAT 점수로나 학교의 평균 성적보다 모자라지만 학생의 다른 장점들, 방과후 활동, 특기 등을 고려할 때 “어쩌면…” 하는 학교들입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 드림이지 너무 허황된 꿈을 꾸면 안 됩니다. 가령 SAT 성적이 450인데 학생의 75% 600점 이상의 SAT성적을 가진 학교라면 다시 생각해 봐야겠지요.


그리고 맞는 수준의 학교 그룹(Match Schools)을 서너 학교 정합니다. 학생의 성적이나 시험 점수가 학교의 평균 성적 범위에 드는 학교들을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성적으로는 match school이래도 사실상 드림스쿨의 범주에 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가령 더 좋은 성적을 요구하는 전공을 택하는 경우입니다. 어떤 학생이 성적 상 에모리 대학의 평균 성적에 든다해도 그 학교의 유명한 비즈니스 스쿨에 지원한다면 그 학교는 reach school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버클리나 버지니아 대학과 같은 주립대학은 주 내의 학생을 몇 명 이상 뽑아야 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타주에서 지원학생들에게는 더 높은 성적이 요구될 수도 있으므로 그런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 성적으로는 매치스쿨이라도 학생이 방과후 활동이 거의 없다면 그만큼 다른 지원자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드림스쿨이라고 봐야합니다


그리고 안전 학교 (Safety Schools)를 두 세학교 정도 정합니다. 학생의 성적 및 시험 점수가 학교의 평균보다 꽤 높은 경우의 학교들 입니다. 결국 세이프티 스쿨에 가게 될 가망성이 많이 있으므로 세이프티 스쿨 리스트도 실지로 가게 된다면 행복할 만한 학교 중에서 골라야 합니다.


사실 지원하는 학교 수는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떤 학교를 지원할지 정하는 것이 신중히 해야할 절차입니다. 너무 욕심부리지 말고 현실을 잘 파악해서 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컨설팅, <미국 유학 성공 비결> 저자 엔젤라 김, www.angelaconsulting.com, (미국)301-320-9791 (인터넷전화) 070-7883-0770, Email: angelagroup@gmail.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교육칼럼-몇 학교나 지원하면 적당할까요? file 관리자 2014.10.21 1007
26 교육칼럼-리더십 개발에 힘쓰세요 file skyvoice 2014.01.18 949
25 교육칼럼-대화술 file 관리자 2015.05.03 1177
24 교육칼럼-대학에 자녀를 떠나보낼 준비가 되셨습니까? file 관리자 2014.08.06 1111
23 교육칼럼-대학교 전공선택 <2> 수의학과 file 관리자 2014.07.22 1231
22 교육칼럼-대학 지원과 추천서 file skyvoice 2013.11.13 1297
21 교육칼럼-대학 지원 절차 file 관리자 2014.09.17 937
20 교육칼럼-대학 지원 리스트를 만들기 전에 할 일 file 관리자 2014.09.09 1162
19 교육칼럼-대학 재정 보조 신청: 계속 오르는 대학 학비와 FAFSA 신청의 중요성 file 관리자 2015.01.10 1606
18 교육칼럼-대학 생활의 성공과 올바른 학습 습관 file 관리자 2015.03.07 1768
17 교육칼럼-대학 공부에서 성공하려면 file 관리자 2015.02.25 1114
16 교육칼럼-대입 에세이 쓸때 주의점 file skyvoice 2013.10.17 2011
15 교육칼럼-대입 에세이 쓰는 법 file 관리자 2014.09.13 1371
14 교육칼럼-내가 시간의 주인이 되자 file 관리자 2015.02.14 936
13 교육칼럼-글쓰기 기술 file 관리자 2015.05.13 1220
12 교육칼럼-공동 지원서가 무엇입니까? file 관리자 2015.09.04 890
11 교육칼럼-개정 SAT file skyvoice 2014.03.16 1196
10 교육칼럼-“네가 한국놈이지 미국 놈이냐?” file skyvoice 2013.12.31 2034
9 교육칼럼-IB 프로그램이란? file skyvoice 2013.12.03 1180
8 교육칼럼-12학년 봄학기 file skyvoice 2014.02.19 9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