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95.167) 조회 수 246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imagesXS11AI2G.jpg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그리스도 베들레헴에 다시 태어나심이

천 수백 번 헤아려도

그리스도 네 자신의 마음에 나서지 않으시면

그 영혼은 아직 버림받은 채로니라"

 

앙겔루스 실레시우수 Angelus Silesius의 시입니다. 읽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시립니다.

그것은 창문에 끼는 성에 때문이 아닙니다. 겨울 추위라서 가슴이 시린 것도 아닙니다.

12월이 되면 주인 없는 축제의 마당에 서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염려 때문입니다.

'기쁨'인양, '은총'인양, 하는 축제가 공허하고 부질없는 어리석은 사람들의 소란은 아닐까 하는

불안 때문입니다. 두려운 일입니다. 예수가 베들레헴에 태어났다고 해서 또 그예수가 아기가

되어 해마다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내 자신의 마음에 태어나는 예수가 무슨 소용일까요?

마음속에 예수가 태어나지 않는데, 삶을 통해 그 예수가 자라지 않은데 성탄절이 무슨 소용일까요?

혼자 사는 여인이 아기를 배었다가는 돌에 맞아 죽는 사회에서 예수의 모친은 어느 날 그런 일이

자기에게 닥칠지 모른다는 불길한 말을 듣습니다.

참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있어서는 안 되는 통보였습니다.

그러나 예수의 모친은 그것이 하나님의 통보인 줄을 알자 죽음을 각오하고 받아 들였습니다.

인류 최초의 여인인 하와는누군가의 말을 듣고 죽을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이기지 못하고 역천逆天한데

반하여 예수의 모친은 약혼자가 버릴지도 모르는데도 심지어 죽음까지 각오하고서 順天 하였습니다.

예수의 모친은 세상 그 무엇보다 하나님의 사랑을 으뜸으로 두었던 것입니다. 이런 마음과 태도로 인해

비로소 예수가 이 땅에 오게 된 것입니다.

이제 말하거니와 이 번 성탄절 이야말로 '하나님의 목마름'을 해결해 드려야 할 것입니다.

죽음을 각오하고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을 받아들였던 예수의 모친처럼 순천하는 갸륵한 인간이 되기를

결심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기 예수를 맞을 마음의 방에 불을 밝히는 것입니다.

 

-허태수 목사, 성암교회-

 

굿모닝~!!!!!

성탄입니다. 12월 25일, 날짜가 정확한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성자 예수께서 죄 많은 이 땅에 구세주로 오셨다는 것입니다.

예수의 모친 마리아도 죽음을 각오하고 잉태하기로 결단했습니다. 위대한 여인입니다.

그러나 인간으로서 위대하지 하나님은 아닙니다. Mother of God으로 추앙받아서는 안 됩니다.

미국은 기독교 국가가 아닙니다. 그러나 기독교가 바탕이 되어 국가가 건설되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성탄의 의미가 점점 퇴색되어 가고 있습니다.

Merry Christmas는 Happy Holiday로 어느새 바뀌었습니다.

예수님이 있을 자리에 산타크로스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섬기지 않는 나라와 민족은 점점 쇠퇴할 것입니다.

그래서 미국이 염려가 됩니다. 세계가 걱정스럽습니다.

가미하지 않은 원색 그대로의 성탄이 그립습니다.

아기 예수는 치장하지 않고 구유에 누우셔서 소박한 목자들의 방문을 맞았습니다.

짐승들의 냄새가 진동하는 곳에서....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