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렬 / 문필가> 이곳 미국에서 만들어진 달력에는 양력의 날짜만 기재되어 있지 음력의 날짜가 없어서 불편한 점이 참으로 많다. 춘하추동, 24절기를 거쳐가면서 계절의 흐름과 날씨의
변화를 대충 짚어볼 수가 있었는데 그렇지 못하니 나이든 구세대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불편하다고들 한다. 올해에도 다행스럽게 한국 식품점에서 달력을
얻어와서 그 불편함을 면할 수 있었다. 달력을 보니 1월 19일이 음력 동짓달의 마지막
날이고 20일은 섣달이
시작되는 12월1일이다. 섣달이
되면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고 문고리에 손을 대면 손가락이 쩍쩍 들러붙는 강추위가 시작되는 달이라서, 나의 어린
시절에는 솜바지
저고리에 동내의를 더 껴입고 썰매를
타고 팽이를
돌리고, 자치기를 하기도 했다. 겨울이 왔으니 봄은 멀지 않다는 말이 있듯이 겨울은 추울만큼 추워야 봄도
오고 꽃도 피는 법이다. 살다 보면 헤쳐
나가기 어려운
일들이 있을
때마다 우리는 이 일을 피할
생각만 하게
된다. 때론 어떻게든 견뎌내는
대신 이 어려움이 빨리 지나가기를 바란다. 그러나 어떤
일이든지 피하거나 빨리 지나갈 방법은 없는
듯 하다. 그저 모든 일이 그 일만큼의 어떤 몫을 감당하고
그만큼의 시간을 견뎌내야 지나가는 것 같다. 마치 동지 섣달이 추워야 그만큼 그 다음 해의 봄이 따뜻한
것과 같은 이치이기도 하다. 섣달이란 설이 드는 달이란 뜻에서 나온 말이다. 지금은 설이 음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