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3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he Orphan Master’s Son.jpg

 

<강수원 / 베들레헴교회>

 

미국의 퓰릿처 문학상은 1917년에 제정된 이래, 매년 문학적으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되는 작품을 선정하여 수여하는 상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손꼽히는 소설 분야의 퓰릿처 상의 2013년도 수상작이 북한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이라는 소식이 무척 호기심을 일으킵니다. 또한 퓰리처 수상 역사상 북한 문제를 다룬 첫 소설이라고 하며, 한국을 비롯하여 독일, 이탤리, 일본 등 15개국에서 번역 출간되었다고합니다

 

이 소설은 Adam Johnson이라는 미국 작가가 쓴 ‘The Orphan Master’s Son’ 인데한국 제목으로는 고아원 원장의 아들’ 이라고 번역되어 2014년 봄에 출판되었습니다.

 

저자 Adam Johnson 1967 년생이구요,  Journalism 을 전공하고,  2000 년에는 English Florida State University 에서 박사학위 를 받았다고 합니다현재는 Stanford University 의 부교수로  creative writing을 가르치고 있다고 합니다.

 

소설의 주인공은 북한 청진의 한 고아원에서 자란 박준도라는 사람입니다. 말만 고아원이지  실상은 고아 강제노동수용소인데 그 곳에서 14살까지 살다가서울 근교까지 tunnel 을 파는 일, 특수팀에서 일본 시민들을 납치하는일, 외국의 무전을 도청하는 스파이 등 정부의 요원으로 있던 그가,  결국은그 정부의 피해자가 되어 정치범 수용소에 보내지구요.  그러다가 여배우 ‘순문’을 만나 기대치 않았던 사랑을 체험하면서 비로소 자신의 상처를 치유 받을 뿐 아니라, 그녀와 그의 아이들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내용의 줄거리입니다.

 

저자는 많은 탈북자들의 기록을 읽고, 북한에 대해 6년이라는 긴 세월에 거쳐 research 를 했다고 해요. 1997년에는 힘들게 관광 visa 를 받아 일주일동안 직접 북한을 방문했었다고  합니다.

 

그가 처음 북한에 관심을 갖게 된 것 은 프로파갠다 ( propaganda) 가 어떤 영향을 끼치나에서 시작 되 었다고 합니다또한 북한 정권의 어두운 부조리 (absurdity) , 각 개인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자유가 없는 억압된 체제 속에서도 서서히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해 가는 북한 사람들을 그리고 싶었다고 합니다.

 

뉴욕타임스에 실린 한 평론가는 말하기를 믿기 힘든, 그리고 수수께끼같은 북한의 무서운 휘장을 열어 졎혀 주었을 뿐 아니라, 진정한 사랑과 희생이 무언가를 파헤친 훌륭한 소설이라 고 평했습니다. 기회 있으실 때 한번 읽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 오신애의 성지순례 이야기(3) file 관리자 2015.08.13 5217
76 오신애의 성지순례 이야기(2) file 관리자 2015.07.23 2095
75 오신애의 성지순례이야기(1) file 관리자 2015.07.09 2699
74 이지현의 하늘동화-은혜받은 바디메오 file 관리자 2015.06.20 3206
73 좋은책 소개-“땅끝의 아이들” (이민아 저) file 관리자 2015.05.22 1999
72 영화 이야기-그 사람 그 사랑 그 세상 file 관리자 2015.05.08 2075
71 이지현의 하늘동화-내가 그를 택했노라 file 관리자 2015.03.30 4459
70 이지현의 하늘동화-하나님 주머니엔 무엇이 들어있나? (개작) file 관리자 2015.02.19 2081
» 좋은 책 이야기-The Orphan Master’s Son=고아원 원장의 아들 file 관리자 2015.02.19 2351
68 “나를 부르는 숲”, 아팔래치아 산맥 file 관리자 2015.01.07 2920
67 영화 “The Interview”와 해킹사건 file 관리자 2015.01.05 2031
66 연극 황금 연못을 보고 1 file 관리자 2014.12.19 2522
65 이지현의 하늘동화-하나님이 가장 기뻐하시는 것 file 관리자 2014.10.15 2634
64 이소정 교수의 “찬양의 유산” 17: “내 맘의 주여 소망 되소서” (통일찬송가 533, 새찬송가484) 1 file 관리자 2014.09.20 9071
63 자, 하나님의 선물이야 file 관리자 2014.09.11 2916
62 선교사가 될래요 file 관리자 2014.09.06 1864
61 이소정 교수의 찬양의 유산 16 : “전능왕 오셔서” (통일찬송가 34장, 새찬송가 10장 ) file 관리자 2014.08.23 3629
60 유명숙의 신간소개-전도는 어명이다 / 김두식 지음 1 file 관리자 2014.06.14 2446
59 이소정 교수의 “찬양의 유산” 15: “다 감사드리세” (통일찬송가 20장, 새찬송가66장) file 관리자 2014.06.03 3680
58 이지현/동화작가=부활의 소망 file 관리자 2014.05.01 29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