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렬 / 문필가> 조선시대의 여류시인인 허난설헌
(許蘭雪軒: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동생)은 자신의 삶에 대한 한(恨)을 입버릇처럼 말했다고 한다:
그 하나는 자신이 여자로 태어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선땅에서 태어난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조선 여인이기에 겪는 인고(忍苦)의 길을 참을 수 없었고, 결국은 그것때문에
27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등지고 말았다. 이것은 옛날 조선
시대의 수많은 여인들의 삶과 비애를 함축하여 보여준 슬픈 사건이었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남자는 하늘, 해, 양지, 씨앗, 근본
등으로, 여자들은 땅, 달, 음지, 밭 등이라 한 전통적 관념이었다. 선사시대에는 한
여인이 여러
남성을 거느리는 모계사회이기도 하였으나, 그 이후 사냥과 농사 짓고, 인근 부족이나 나라들과 경쟁하고 전쟁을
치루면서 점차 힘을 앞세운 남성 본위의 사회로 바뀌어 갔다. 신라시대에는 동양
최초의 여왕이 나올
정도로 남녀간의
차별은 없었고, 고려시대의 여성은 가정 내에서 차별이 전혀 없어서 남편이 죽으면 여성이 호주가 되어 공평한 상속과 재산의 분배를 받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 있었으며, 부모님의 제사도 아들, 딸이 돌아가며 지냈고 이혼도 서로 합의하면 허락되었으며 개가
(改家)하여도 아무런 불평등이 없었다. 그러나 유교국가인 조선 시대에 와서는 철저한 가부장제
(家父長制)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