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1 00:01

교육칼럼-직업 윤리

조회 수 10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직업 윤리.jpg

 

<앤젤라김 / 유학-교육칸설턴트>

 

지난 삼 주간 대학에서 정규 과목들 외에 신경 써서 습득해야 졸업 후 성공을 위해 유리한 기술로서 대화 기술과 피플스킬 그리고 글쓰기 기술에 대하여 말씀 드린 바 있다. 대학에 가게 되면 거의 모든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받고, 교실 안팎에서 받게 되는 온갖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일에 신경을 집중하게 된다. 전공을 정하고 공부하는 일에 신경을 쓰느라 사실상 졸업 후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생각하지 못하고 대학 생활을 보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학점 외에도 졸업 후 유용하게 쓰게 될 여러 가지 습관과 기술을 습득해 놓아야 한다. 좋은 습관을 기르는 일이 졸업 후 좋은 직업을 갖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면 금방 이해가 되지는 않을지도 모르겠다. 놀랄지 모르겠지만 고용주들이 졸업생들의 졸업 학점을 볼 때 평점, GPA는 그 학생의 기본 지능의 척도만이 될 뿐이고 더 자세히 보는 면은 학생의 대화 기술, 정직성, 팀워크, 대인 관계 기술, 직장 윤리 등이다. 그렇다고 학점을 무시한다는 말은 절대 아님을 강조해야 하겠다. 학점은 기본이고 그 외에 길러야 할 덕목 및 습관을 말씀 드리는 것이다.   대학의 강의 과정은 지식과 기술의 향상 및 개발에 중점을 둔다. 어떤 과목도 문제 해결 능력, 시간 활용 능력, 분석적 사고, 대화술, 작문 능력 등을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모든 수업 시간이 그런 기술을 향상시킬 기회라고 생각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학교를 다니며 공부 외에 습득해야 할 여러 가지 기술 및 습관 중에서 직업 윤리야말로 학교를 다니는 동안 학점 다음으로 중요시 여기며 습득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불행하게도 너무 많은 학생들이 계속 옆에서 잔소리를 해야 무슨 일을 하나 겨우 마칠 수 있을까 말까 하다. 누가 옆에서 계속 지시하거나 제제하지 않아도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며 일을 추진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무슨 일이 중요한 지 순서를 정할 줄 알아야 하며 정해진 목표를 추진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직업 윤리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순간 순간 가지게 되는 자기 만족을 미룰 줄 아는 능력이기도 하다. 미래의 고용주가 원하는 사람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강한 의지와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이며 실질적으로 그런 사람들이 매우 부족하다. 그러한 자기 동기 부여의 능력을 열심이라고 부르든 아니면 열정, 에너지 혹은 자신감이라 부르든 일의 추진력이 있는 사람이 좋은 결과를 낼 것이며 그것이 개인의 능력이자 책임이다.

 

학생이 좋은 직업 윤리를 갖기 위해 연습해야 할 다른 일은 시간과 돈을 잘 쓰는 일이다.  학교를 9시부터 5시까지 다니는 직장으로 생각하면 시간을 잘 쓰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면 일 주일에 적어도 30시간은 숙제 하는데 쓸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리고 다음날 직장에 가야 하니까 밤 늦게까지 친구들과 어울려 파티를 한다든지 하는 무절제한 생활은 피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학교를 직장으로 여긴다면 아침 8 30분에 있는 수업 정도도 겁내지 않고 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학교 생활을 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 교수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졸업 후 직장 생활을 할 때에도 근면하게 일하는 것이 몸에 베어 있어서 도움이 된다.

돈을 잘 쓰는 문제에 있어서는 자세한 지출 내용을 일일이 신경 쓸 줄 알아야 하고 신용 카드를 절제 있게 사용하고 은행 구좌에 돈이 얼마 남았는지 알고 대처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당장의 만족을 위해서 무언가를 구입할 때마다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돈이 감소된다는 것을 인식할 줄 알아야 한다. 돈을 제대로 쓴다는 것은 또한 상품의 구매 가치를 따져서 생각할 수 있는 능력과 습관을 기르는 일이요, 꼭 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훈련을 하는 일이다. 카드 빚이 없이 학교를 졸업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금전 생활을 하는 것도 좋겠다. 사정상 빚을 져야 하는 경우라면 대책 없이 빚을 지는 것이 아니라 빚이 얼마고 다 갚으려면 얼마나 걸리며 어떻게 갚을 것인지 분명한 생각과 계획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철저한 직업 윤리를 갖는 것은 학교를 다니면서 미리 습득하고 연습해야 하는 일이고 잘 훈련해 두는 것은 졸업 후 직장 생활을 준비하는 일이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컨설팅, <미국 유학 성공 비결> 저자 엔젤라 김, www.angelaconsulting.com, (미국)301-320-9791 (인터넷전화) 070-7883-0770, Email: angelagroup@gmail.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 교육칼럼-대화술 file 관리자 2015.05.03 1177
26 교육칼럼-글쓰기 기술 file 관리자 2015.05.13 1220
25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Keep Your Fire in the Fireplace” file 관리자 2015.05.17 1302
» 교육칼럼-직업 윤리 file 관리자 2015.05.21 1013
23 앤젤라김의 교육칼럼-상식 file 관리자 2015.05.28 1124
22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거짓말하는 부모, 거짓말하는 자녀 file 관리자 2015.06.02 1901
21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한국말? 아니면 영어로? file 관리자 2015.06.18 1534
20 앤젤라김의 교육칼럼-보딩스쿨이 무엇인가 file 관리자 2015.07.01 1452
19 엔젤라 김 교육칼럼-보딩스쿨안에서의 생활 관리자 2015.08.05 1251
18 대입 지원 절차 file 관리자 2015.08.20 962
17 교육칼럼-공동 지원서가 무엇입니까? file 관리자 2015.09.04 890
16 앤젤라김의 교육칼럼-대학 입시와 추천서 file 관리자 2015.09.25 974
15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첫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5 785
14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두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7 1070
13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세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8 1108
12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네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1.02 918
11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다섯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1.09 1028
10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애들 때문에 미국 왔어요...” file 관리자 2015.11.18 1424
9 앤젤라김의 교육칼럼- 지원서 작성: 뭐 빠뜨린 것 없나요? file 관리자 2015.12.04 869
8 청소년교육칼럼-감정 표현 file 관리자 2015.12.14 8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