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상식.jpg

 

<앤젤라김 / 유학-교육칸설턴트>

       

이번 주에는 그 동안 다뤄오던 주제의 마지막으로 대학을 다니며 수업 중에 가르치는 교과 과목 외에 습득해야 하는 기술 중에 하나로서, “상식이라는 주제 하에 몇 가지 말씀 드리고자 한다. 이 기술 중에는 누군가 진실을 과장해서 말할 때 알아차리는 기술, 자세한 세부 사항에 주목하는 기술, 지식을 적용하는 기술, 행동과 정책을 평가하는 기술 등이 있겠다. 이러한 기술들을 상식이라는 범주에 넣은 것은 어디서 직접적으로 배울 수 있는 것들도 아니고 어떤 사람들은 그냥 선천적으로 이러한 것을 아는 반면에 또 아무리 고등 교육을 오랫동안 받아 왔다 할지라도 전혀 배우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내일은 해가 뜨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던가 이웃집이 핵폭탄에 의해 날라갔다고 말하는데 그것을 그대로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확실히 드러나는 과장이 아니고 뿌옇게 연막을 치며 하는 과장되지만 그럴 듯한 말들이나 누군가 아무 생각 없이 나오는 대로 내뱉은 말들을 사실과 구별해서 들을 줄 아는 것은 기술이 필요하다.  흑이다, 백이다 확연히 구분되는 것이 아닌 이런회색 지대에 있는 말들의 진실성을 알아차리는 것은 경험, 본능 등을 포함한 일종의 상식 문제인 것이다.

       

세부사항에 주목할 줄 아는 기술도 비슷하다. 학교를 다니면서, 아니 어려서부터 사람들의 말을 대충 이해하고 마는 데 그치지 말고 자세한 사항을 귀 기울여 듣고 기억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숙제를 하거나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 데 있어서 지시 사항을 대충 이해하고 자세한 세부 사항을 그냥 지나쳐 버리면 중대한 실수를 하게 될 수도 있다. 주위 사람들의 말이나 돌아가는 상황들에 자세히 주목하며 의미를 파악해 내는 기술을 습득하지 않는다면 이미 들은 말이 들을 때마다 새롭고 상황이 변할 때에도 제대로 반응할 수 없게 된다.

 

지식을 적용할 줄 아는 능력 내지 기술은 배운 것을 써먹지 않으면 왜 배우느냐 하는 말로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프란시스 베이컨이라는 16세기 시인의 말처럼아는 것은 힘이다”. 그러나 아는 것을 힘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다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지식은 지식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때 그 빛을 발하게 된다. 어떤 지식을 배울 때마다이것을 나 자신이나 사회, 가족, 단체를 위해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하고 계속적으로 자문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직장에서는 관계된 간행물을 계속 읽고 컨퍼런스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공부가 필요하면 계속 공부를 하면서 필요한 모든지식을 쌓는데 게으르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직장이나 학업 분야에 관계된 모든 방면에 호기심을 가지고 배우려는 열심을 잃지 않아야 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습득한지식중에 어떤 지식이 적용 가능하고 어떤 지식이 적용할 수 없는 것인지 판단할 줄 알아야 한다. 요즈음의 고용주들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줄 알고 계속적으로 배우려는 의욕이 있는 사람을 원한다. 그들은 직원이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해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다른 직원과 의견도 교환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일과 관계도 없는 비현실적인 뜬 구름 잡는 식의 아이디어를 가져오는 것은 원치 않는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행동과 정책을 평가하는 법을 습득해야 한다. 우리는 거의 대부분 시험을 좋아하지 않고 가슴 졸이며 성적표를 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기는 거야 좋아하지만 패배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러할 것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대개는 평가라는 것 자체를 피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자신이나 남의 행동을 평가하고 판단을 내리는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나쁜 평가나 패배는 성공을 위한 과정일 뿐이다. 성공은 위험을 감수하고 성공과 실패의 양면에 대해서 잘 반응할 줄 아는 사람의 것이다. 평가하는 기술이 중요한 것은 그래야 발전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혹은 속한 단체의 목표에 집중한다면 부정적인 평가에 대해서도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다섯 주 동안에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의 성공을 위해서 대학 생활 중 학과 공부 외에 습득해야 할 기술들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 보았다. 직업 윤리, 대화술, 글 쓰는 기술, 인간 관계의 기술, 그리고 오늘 말씀 드린 여러 가지 상식적인 기술들을 재학 중에 습득하여서 졸업 후에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하실 수 있게 되시기를 소망한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컨설팅, <미국 유학 성공 비결> 저자 엔젤라 김, www.angelaconsulting.com, (미국)301-320-9791 (인터넷전화) 070-7883-0770, Email: angelagroup@gmail.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앤젤라김의 교육칼럼-상식 file 관리자 2015.05.28 1124
86 성공적인12학년 2학기 file skyvoice 2014.01.04 1130
85 청소년교육칼럼-공부하는 방법 file 관리자 2015.04.04 1130
84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자녀를 위한 경제교육 file 관리자 2016.03.08 1131
83 교육칼럼-지원 학교 결정과 전공 선택 file 관리자 2014.06.25 1139
82 청소년교육 칼럼-“어메리칸 아이돌” file 관리자 2014.10.09 1144
81 청소년교육칼럼-자녀들의 눈에 비쳐지는 1세 부모들의 모습 file 관리자 2014.09.08 1147
80 교육칼럼-조기 지원 결과 file skyvoice 2013.12.19 1148
79 교육칼럼-대학 지원 리스트를 만들기 전에 할 일 file 관리자 2014.09.09 1162
78 새로 선보인 공동 지원서와 에세이 문제 1 file skyvoice 2013.09.18 1164
77 교육칼럼-보딩스쿨 입학의 10대이유 (1) file 관리자 2014.12.12 1170
76 엄재정 박사 자녀교육-자녀들을 존중하라 file skyvoice 2013.09.12 1174
75 교육칼럼-대화술 file 관리자 2015.05.03 1177
74 교육칼럼-지원서 작성 최종 점검 file 관리자 2014.11.03 1179
73 교육칼럼-IB 프로그램이란? file skyvoice 2013.12.03 1180
72 교육칼럼-중학교 때는 어떻게 대입 준비를 하는가 file 관리자 2014.07.14 1184
71 청소년교육칼럼-자녀와의 갈등 file 관리자 2014.09.25 1185
70 교육칼럼-입학 결정 편지를 기다리는 시니어들에게 file 관리자 2015.03.10 1192
69 교육칼럼-개정 SAT file skyvoice 2014.03.16 1196
68 교육칼럼-자녀를 대학으로 떠나 보내기 file 관리자 2015.04.02 11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