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중언어.jpeg

 

<박현수 목사 / 에버그린커뮤니티교회>

 

알고 지내는 분 중에 나이가 좀 들어서 결혼하신 분이 계셨다. 그래서 첫 아이가 막 돐을 지냈는데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나이가 있어서 그런지 모든 점에서 어느 정도는 자신이 있으면서도 은근히 자신이 하고 있는 자녀 양육 방식이 맞는지 무척 궁금해 했었다. 그 중에서도 아이가 이제 막 말을 시작하려는 시점에서 한국말을 먼저 가르쳐야 하는지 아니면 영어를 가르쳐야 하는지를 놓고 고민하였다. 아이 엄마는 영어도 한국말도 아주 유창하게 하는 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분의 말로는 선배 엄마들의 조언대로라면 집에서는 한국말을 써야 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혹시라도 밖에서, 또 학교에서 영어가 뒤쳐지거나 못 따라가지는 않을까하는 걱정에 어쩔 줄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어려서 부모님을 따라 미국에 왔지만 학교에서 영어로 말하는 것 때문에 힘들어 하는 아이들을 보게 된다. 자기 또래 아이들과 비교해 볼 때 영어 사용에 많은 애를 먹는다. 가장 기초적인 말들 외에는 잘 하지 못하고, 그러다 보니 학교에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영어를 잘 못하니 친구도 별로 없고, 수업 시간에 수업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니 학교 다니는 것이 전혀 흥미를 못 느낄 수밖에 없게 되버린 것이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학교란 마지못해 왔다 갔다 하게 되는 곳이 되어 버린다. 게다가 부모는 아이들이 영어뿐만이 아니라 한국말도 다른 아이들에 비해서 잘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에 반해서 어떤 아이들은 거의 같은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면서 공부도 잘하고 많은 친구들을 사귀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런 경우는 아이들의 활발한 성격 탓도 있겠지만 무엇엔가 자신감이 있어서 열심히 학업을 따라가면서 학교생활에 재미를 느끼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렇게 큰 차이를 가져오게 되는가?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 많은 교육 전문가들은 가정에서의 모국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민 생활과 같은 이중적인 언어 환경 속에서는 아이들의 지적인 능력은 자신이 집에서 배우는 모국어 능력을 토대로 해서 개발된다고 한다. 사실상 우리 부모들의 영어 실력은 아이들의 학교 수업 능력을 도울 정도의 수준이 되질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아무리 대학을 졸업하고 영어를 몇 십 년 동안 배웠다고는 하지만 이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친다는 것은 무리이다. 여기서 태어나서 자라지 않은 이상 우리들의 발음 속에는 알게 모르게 강한 한국식 억양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말에 사투리라도 섞여 있으면 그야말로 국적불명의 영어가 되어 버리기 십상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영어 공부를 도와주겠다고 안 되는 영어를 무리해서 사용하는 것 보다는 한국말로 많은 대화를 나누는 것이 자녀들의 교육에 훨씬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학교에서 영어를 잘 하는 아이들이 집에서 영어를 쓴다기 보다는 부모들과 항상 한국말로 대화를 나누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공립학교 교사들도 가정에서의 모국어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모국어를 확실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되면 자연히 영어도 뒤따라가게 된다는 말이다. 모국어를 가정에서 정확하게 가르치면 그 언어 능력을 통해서 사고력과 인지력이 형성되고 언어적인 능력이 향상되어 결국에 가서는 한국말과 영어 모두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한국말도 영어도 아닌 애매모호한 말을 자꾸 사용하는 것은 부모 자식 서로가 적당히 알아듣고 적당히 말하게 됨으로써 아이들의 지적 능력만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이 자란 후에도 언어 문제만이 아니라 결국 모든 면에서 부모 자식 간의 관계마저도 적당 적당히 넘어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한국말을 가정에서 분명하고도 정확하게 가르쳐야할 필요가 있다. 또 외국에 살면서 한국말을 이 정도 하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나이에 알맞은 정확한 표현과 문장을 가르쳐주어서 잘 사용할 수 있게끔 좋은 언어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부모가 영어와 한국말을 섞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집에서 한국말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학교에 가서 영어를 제대로 확실하게 배워 올 수 있는 지름길이 된다.

 

항상 우리 부모들의 마음은 자녀를 위해 최선을 다해주고 싶은 마음임에 틀림이 없다. 영어를 사용하려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하지만 내가 영어를 억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한국말을 사용하는 것이 큰 힘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세상은 여러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이왕 우리가 할 수 있는 한국말을 잘 가르쳐서 영어도 공부도 잘 할 수 있는 자녀로 키우는 것이 훨신 현명한 일이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 교육칼럼-대화술 file 관리자 2015.05.03 1177
26 교육칼럼-글쓰기 기술 file 관리자 2015.05.13 1220
25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Keep Your Fire in the Fireplace” file 관리자 2015.05.17 1302
24 교육칼럼-직업 윤리 file 관리자 2015.05.21 1013
23 앤젤라김의 교육칼럼-상식 file 관리자 2015.05.28 1124
22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거짓말하는 부모, 거짓말하는 자녀 file 관리자 2015.06.02 1901
»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한국말? 아니면 영어로? file 관리자 2015.06.18 1534
20 앤젤라김의 교육칼럼-보딩스쿨이 무엇인가 file 관리자 2015.07.01 1452
19 엔젤라 김 교육칼럼-보딩스쿨안에서의 생활 관리자 2015.08.05 1251
18 대입 지원 절차 file 관리자 2015.08.20 962
17 교육칼럼-공동 지원서가 무엇입니까? file 관리자 2015.09.04 890
16 앤젤라김의 교육칼럼-대학 입시와 추천서 file 관리자 2015.09.25 974
15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첫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5 785
14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두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7 1070
13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세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0.28 1108
12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네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1.02 918
11 앤젤라김의 교육칼럼-공동 지원서 에세이 다섯 번째 프람트 file 관리자 2015.11.09 1028
10 박현수목사의 청소년교육칼럼-“애들 때문에 미국 왔어요...” file 관리자 2015.11.18 1424
9 앤젤라김의 교육칼럼- 지원서 작성: 뭐 빠뜨린 것 없나요? file 관리자 2015.12.04 869
8 청소년교육칼럼-감정 표현 file 관리자 2015.12.14 8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