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맞으며 고향생각 / 김명렬

by 관리자 posted Sep 2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감사가행복.jpg

<김명 /문필가>

사람은 누구나 고향이 있다.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어린 시절의 추억이 함께 한, 어머니 품 속같은 따뜻한 정이 느껴지는 곳이 우리들의 고향이다. 고향은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고향이라는 말만 앞에 붙이면 갑자기 새로운 감정이 마음에 느껴온다.

 

고향 친구, 고향 산천, 고향 음식,고향집, 고향역, 고향의 풍경 등등. 고향에 있는 것이면 모두가 아름답게만 느껴지는 것이 우리들의 마음이다. 그래서 인생은 고향을 노래해 왔고 고향을 이야기해 왔다. 고향 노래가 사람들에게 많이 불리워 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고 고향의 이야기를 다룬 글들이 많은 사랑을 받는 까닭도 이 때문일 것이다. 

고향은 우리의 과거가 있는 곳이며 우리의 꿈이 있고 우리에겐 언젠가는 돌아가야 한다는 마음의 부채로 남아있는 곳이다. 이번 추석 명절에도 많은 사람들이 고향에 다니러 갈 것이다. 고향에 오는 사람, 고향에 가는 사람들은 모습만 보아도 벌써 알 수가 있다.

 

옛날 중국 한나라의 유방과 초나라의 항우가 전쟁을 할 때였다. 유방이 항우의 군사 10만을 포위하고 있었다. 유방은 가을달밤에 자기의 군사들로 하여금 퉁소로 구슬픈 초나라의 가락을 불게 했다. 그러자 초나라 군사들은 고향의 구슬픈 가락을 듣고 고향 생각이 나 뿔뿔이 흩어져 고향으로 돌아가 버렸다. 퉁소 가락으로 유방은 대승을 거두게 된 것이다.

 

고향이란 인간에게 이렇게 모든 이들의 마음 속에 중요한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전통 명절인 추석이 되면 수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간다. 명절이 가까워지면 깊은 향수를 느끼기 때문이다. 고향은 어머니의 아늑한 품과 같고 동경의 대상으로 느껴지는 동심의 세계이다. 동물들에게도 고향을 향한 귀소본능이 있다. 예를 들면 개는 아무리 먼 길을 가서도 반드시 제 집을 찾아온다. 그리고 비둘기 역시 몇 백 마일이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곧장 자기 고향을 향해 날아가고, 연어나 숭어는 산란을 위해 고향을 찾아 돌아온다. 우리는 연어의 회귀 본능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연어는 원래 민물에서 태어나 자란다. 그러나 얼마쯤 자란 후 반드시 바다로 내려가 산다. 바다에서 짜디 짠 물을 먹고 그들의 뼈가 자라고 살이 자란다. 그들은 넓고 깊은 바다를 마음껏 휘젓고 살아간다. 3~4년을 이렇게 잘 지내고 살고 나면 산란할 때가 되어 반드시 본능적으로 자기의 본향인 민물가가 생각난다. 그래서 연어떼들은 자기가 산란하고 태어난 강기슭으로 향한다.


원래 나이아가라 폭포에서는 연어가 살지 않았다. 하지만 어느 짖궂은 (?) 어류학자가 원래 미시시피강으로 산란하러 올라 오는 연어를 잡아다가 나이아가라 폭포 위쪽에 산란하도록 여러 마리를 풀어놓았다. 이렇게 해서 치어가 태어났고 그 치어들은 하류로 내려가 대서양으로 가서 자랐다. 그의 관심은 대서양으로 간 그 연어의 치어들이 과연 나이아가라 폭포 쪽으로 올라오느냐, 즉 연어의 회귀본능에 관심이 있었던 것이다. 몇 년 후 그 연어들은 산란의 때가 되자 어김없이 나이아가라 폭포 밑에 나타났다. 그리고 거기에서 그 폭포 위로 뛰어 오르기 시작했다. 세계에서 가장 세차고 거대한 폭포, 연어는 그 폭포의 쏟아지는 거센 물결에 도전했던 것이다. 여러 번 뛰어오르기에 실패해 주둥이가 깨지고 아가미가 터져 피가 철철 나지만 연어는 포기하지 않았다. 피로 물든 몸으로 사생결단 끝에 결국 마침내 연어는 나이아가라 폭포를 거슬러 올라왔다. 그곳이 바로 연어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우리도 명절때마다 고향을 찾는 것은 회귀본능인 고향을 향한 향수심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과 혈연이 하나가 되어 숨쉬는 고향, 거기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진학, 취업때문에 도회지로 진출한다. 도시에서의 삶은 늘 피곤하고 각박하다. 너나 없이 삭막한 환경, 긴장된 인간 관계 속에 찌들게 마련이다. 그런 현실은 고향에서의 과거를 더욱 그리운 것으로 채색해 간다.

고향에서라고 모두가 행복했던 것은 아니었건만,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이 아름다운 무지개 빛일 수만은 없건만, 당장의 도시생활이 고향에 관한 기억을 바꾸어 가고, 소꿉동무는 악동이었더라도 착하기만 했던 아이로 이미지가 굳어간다. 그리하여 고향은 나만의 유토피아로 새겨져 간다.


고향이란 내가 처음 세상에 태어나고, 처음으로 울음보를 터뜨리고, 어머니의 따뜻한 품 속에서 어머니가 가만가만 불러주던 자장가에 잠들었던 곳, , 나의 인생에서 가장 그리운 고향, 추석이나 설 등의 명절이 되면 가장 많이 생각나고 어릴 적 나의 흔적과 숨결이 고스란히 간직된 곳, 그래서 우리에게 고향이란 아름다운 구속이었다.


추석이 멀지 않았다. 수만리 멀리 타국, 미국에 살면서 가보지 못하는 고향을 생각하며 향수에 젖어본다. 추석이 되니 내 고향 뒷동산에서 솔잎을 따다 시루에 얹어서 쪄낸 솔잎 냄새가 솔솔 나는 어머니가 정성스레 만든 그 송편이 먹고 싶다. 추석날 밤에 둥그렇게 떠서 비추는 저 보름달은 어김없이 나의 고향에도 비춰 주고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