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나안 땅에 들어와 처음으로 제단을 쌓았다.


믿음으로 요단강을 건넌 다음이 아니었다.

인내와 순종으로 여리고 성이 무너진 다음이 아니었다.


요단강을 건넌 다음에는 

후손들에게 기념이 되게 하라고 

12지파 당 하나씩 

돌을 요단 강에서 빼어 어깨에 매야 했다.  


여리고 성을 정복한 다음에는 

자신들의 힘만으로 아이성을 정복하려다 실패를 맛보았고

그 핵심에는 공동체 전체를 위험에 빠뜨린 

한 개인 아간의 사리사욕이 징그럽게 또아리 틀고 있었다. 


옷을 찢어 회개하고 심기일전하여 

하나님이 주신 지혜를 좇아 

아이성을 정복했다. 


실패 뒤에 다시 찾아 온 성공은

첫 번째 성공과는 달라도 많이 달랐다. 


비로소 첫 제단을 쌓았다. 


예수님을 처음 만났을 때의 감격은 놀랍다.

뜨겁다. 하늘을 찌를 것 같은 기개가 있다.

 

그러나 주님을 따른 다 하면서도 

주님을 기쁘게 해 드리기 보다

자신의 뜻과 생각 그리고 경험을 앞세우다

찾아 든 실패로 인해 

하나님 앞에서 뿐만 아니라 

세상 앞에서도 쪼그라든 사람이

주님과의 관계가 갱신된 뒤에 

비로서 다시 쌓는 제단은 

처음 보다 뜨겁지 않을지라도 

기세가 한 풀 꺽여 뭔가 부족해 보여도

얼마나 아름다운지 사실 가늠 조차 어렵다. 


아이성을 정복한 후 에벨산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갑자기 제단을 쌓았다.

그리고 그 제단은 자신들이 복 받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자신들의 성공을 알리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수고했다 서로 위로하며 전리품을 나누는 승전 잔치는 더욱 아니었다. 

이제는 모세가 알려 준대로, 율법대로 제단을 쌓았다 (31절).

사람의 손이 가지 않은, 철연장으로 다듬지 아니 한 (31절) 

제단의 돌에다 다시 한번 말씀을 새겼다(32절).

그 돌 앞에 정렬한 백성들에게 여호수아는 축복과 저주의 율법을 하나도 빼지않고 낭독했다(34절). 


그러나 이 모든 교훈 앞에 한 말씀이 마음을 사로 잡는다. 


"그 때에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에벨 산에 한 제단을 쌓았으니" (수 8:30) 


이 아침에 다시 한번 말씀의 씨앗을 심는다. 


지금까지 쌓아 온 제단은 

아니 지금 쌓고 있는 제단은 


혹......


누구를 위한 것인가?


<매일성경 11월 26일 본문, 수 8:30-35 / 김주헌 목사>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