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언 변호사
팍타 순트 세르반다.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 로마법의 제 1원칙이다.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씨저가 루비콘을 건너고 공화정이 무너진 자리에 제정이 시작되는 흐름속에서도, 로마가 다른 나라들과 결정적으로 달랐던 것은 이 사회를 지탱하는 지도자들이 Pacta Sunt Servanda 의 원칙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다른 고대사회와 같이 절대적 군주가 혼자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비록 귀족과 유력가들 사이에 제한되었다 할지라도, 원로원과 평민출신의 집정관 사이에 견제와 균형의 틀을 만들고 구성원들이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애를 썼기에 이 찬란한 로마에 수많은 이방나라들이 굴복하여 왔음을 부인할수 없다.
왜 저 멀리 식민지 유대민족의 신을 모든 민족의 신, 그것도 유일신이 되도록 강요하는가. 수년전 네로 황제에게 역모 혐의를 받고 스스로 혈관을 끊은 이 시대의 최고철학자 세네카가 일갈한 바 있다. 이방인인 나 역시 무엇보다 그게 싫었다. 알고 싶었다. 왜인가. 왜 유일신 하나님이어야 하는가. 수많은 밤을 새웠다. 저들의 존경받는 조상 모세가 남긴 유대인의 법 토라 (저자주 – 모세오경)와 선지자들의 예언을 읽고, 읽었다.
Pacta Sunt Servanda. 그것이었다. 언약의 신 하나님. 과연 어느 신이 피조물과 약속을 하고, 약속을 지키고, 약속을 지키기를 기대하는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 유대인들에게 삐지고, 인간의 한계를 깨닫고는, 신 자신이 약속한 것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인간의 모습으로 내려와 죄를 대신 담당하겠다는 약속이 유대민족이 그동안 믿은 언약의 전부였다. 그리곤 예수가 이 세상에 살다 갔다. 이사야와 다윗을 통해 약속했던 구원의 약속을 신이 정말로 지킨 것이다. 베드로가 그것을 깨달은 것이다. 바울이 바로 그것을 본 것이다. 약속을 지키는 신. 그것도 인간의 약함을 알고 인간이 이해할수 있는 방식으로 약속을 이행하는 신. 팍타 순트 세르반다.
제정로마는 황제가 점점 신이 되가면서 Pacta Sunt Servanda 를 무너뜨리고 있다. 찬란한 로마는 그 전성기를 지나자마자 내리막을 걷고 있다. 얼마 남지 않았다. 로마를 대신하여 이제 막 기독교라 불리우며 세력을 넓혀가는 이 불온한 사상이 이 세상의 마음을 얻게 될 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