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의죽음.jpg

 

 

 

<김영언 변호사>

 

최고의 철학자 세네카의 제자였던 마르쿠스가 스승의 죽음 뒤에 골로새로 돌아왔다는 소문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다. 그런 그가 아내의 전도에 못이겨 교회에 나오기 시작한 것은 내게 꽤나 흥미로운 사건이 아닐 없다. 세네카가 이끌던 스토아학파가 어떤 이들이던가. 세상이 불로부터 시작하여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는 유물론이 그들의 바탕이니 죽음

이후를 설명하지 못하지만, 윤리로는 금욕과 마음의 평정 상태, 그리고 인류애를 인간이 추구할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스에서 시작한 스토아 철학은 로마에 이르러 만개하면서 우리 사상의 근간이 되고 있지만 솔직히 말해 철학이 좋아 따르는 이는 어디서나 엘리트 위주의 유별난 소수일 뿐이다.

 

마르쿠스는 교회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어 사도 바울의 편지 필사본들을 가져다 읽더니 얼마 전부터는 70인역 이스라엘 율법과 역사서를 빌려 심취해 있던 중이다. 읽어본 소감이 어떠냐는 질문에 어제는 이런 소리를 한다. 바울은 세네카를 보는 것 같다고. 바울이 편지들에서 겉으로는 은혜에 의한 구원을 강조하는 하지만 결국 뒤에는 이스라엘의 여호와보다 금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면서. 가말리엘 문하생들이 공부한 것은 그들의 율법서 아니라 우리 시대의 철학도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고 말하는 목소리에 확신이 차있다. 그리고 여호와가 수천년 전부터 이스라엘에 요구하고 있는 게 지금 로마의 스토아 철학이 강조하는 가르침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그의 관찰이다.

곰곰히 생각하니 틀린 말이 아니다. 내가 보기에도 여호와가 이스라엘에 요구한 것은 결국 두 가지로 요약된다. 거룩함과 사랑. 토라같은 율법서는 물론 이스라엘을 꾸짖느라 바쁜 예언서에서 신은 흠없는 제사와 제물에 대해 어찌나 반복하여 강조를 하던지 조물주의 거룩함에 대한 집착이 의아스럽던 게 한두 번이 아니다. 그리고 십계명을 반대로 생각해 보면 앞의 네 조항은 신에 대한 사랑을, 뒤의 여섯 조항은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에 다름 없다. 당신의 아들 예수도 성경의 가르침을 신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정리하지 않았던가.

 

바울은 은혜에 의한 구원 이후의 삶이 거룩함에 이르는 열심으로 가득차야 함을 편지마다 강조했는데, 유대 사상은 물론이지만 스토아의 금욕주의의 영향도 있겠다 싶다. 바울은 너무 모범생이다. 하여간 여호와가 인간에게 기대하는 것은 로마의 다른 신과 달리 참으로 도덕적이다. 선택받은 자녀에게 요구하는 것이 경건과 사랑의 실천이라니. 세네카가 무덤에서 깨어 일어나 반가워할 일이다.

 

마르쿠스가 회고한다. 스토아 학파의 금욕주의를 평범한 사람들이 그렇게 코웃음치더라며. 인간은 아담 때로부터 일탈을 꿈꾼다. 신과 인간의 밀고당기기가 잔소리 많은 어머니와 말썽꾸러기 아들을 연상시킨다. 하늘을 창조한 신이 어머니와 같은 인내심으로 이땅의 보잘 것 없는 인간에게 끊임없이 사랑을 보내고 있다는 것 자체가 나에겐 이 세상 최고의 미스테리가 아닐수 없다

 

 

*역자주:

오네시모가 그의 글에서 세네카를 또다시 언급합니다. 그 자신이 철학에 관심이 있었던 것을 느끼게 합니다. 스토아 학파에 대해 1세기 인물의 평가를 듣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스토아 학파는 기독교와 실제로 유사한 가르침이 많아서 기독교가 로마 사회에 자리잡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서기 3세기 이후 저작으로 보이는 바울과 세네카 사이의 편지글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기독교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은 아니고 수사학에 대한 내용인데, 실제로 두사람 사이에 쓰여진 것이 아니라 후대의 위작으로 평가된다고 합니다. 허나 철학이 아무리 위대하다 하여도, 이는 죽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세네카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바울의 경건함에 대한 가르침들이 중세 기독교가 유럽을 지배하던 시절 자유로운 사상과 예술의 흐름을 막았던 것도 사실일 겁니다. 그 반작용으로 시작된 근대사회가 인본주의를 표방하며 기독교로부터 멀어진 이유이기도 할 것이고요예수가 이땅에서 가르친 교훈은, 율법의 숨막히는 명령들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려는 것도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 잘 모르겠습니다. 도덕으로 구원을 받지 않고 은혜로 받는다는 가장 중요한 기독교의 구원에 대한 교리와, 구원 이후에 어느 종교보다 도덕적인 삶을 기대한다는 기독교의 성화에 대한 교리가 역자에게는 종종 혼돈스럽습니다.

    

*그림 설명: "세네카의 죽음" (쟈크 루이 다비드 작)

 


  1. 사마리아와 갈릴리 (유튜브 버젼)

    Date2021.01.15 Byskyvoice
    Read More
  2. 서른 일곱번 째 이야기: 전능의 유보

    Date2020.11.25 Byskyvoice
    Read More
  3. 서른 여섯번 째 이야기: 바람

    Date2020.11.20 Byskyvoice
    Read More
  4. 서른 다섯 번째 이야기: 에베소의 아르테미 신전

    Date2020.11.09 Byskyvoice
    Read More
  5. 서른 네번째 이야기: 든자리 난자리

    Date2020.11.03 Byskyvoice
    Read More
  6. 서른세번쨰 이야기: 애드립

    Date2020.10.23 Byskyvoice
    Read More
  7. 서른 두번째 이야기: 라오디게아의 눔바와 재회하다

    Date2020.10.18 Byskyvoice
    Read More
  8. 서른한 번쨰 이야기: 엠마오로 간 글로바

    Date2020.10.13 Byskyvoice
    Read More
  9. 서른번 째 이야기: 갈증

    Date2020.10.05 Byskyvoice
    Read More
  10. 스물아홉번째 이야기: 베드로가 질투한 요한

    Date2020.09.23 Byskyvoice
    Read More
  11. 스물여덟번째 이야기: 세네카여 그대는 어디에 있는가

    Date2020.09.19 Byskyvoice
    Read More
  12. 스물 일곱번째 이야기: 관대한 조각가

    Date2020.09.07 Byskyvoice
    Read More
  13. 스물 여섯번째 이야기: 메멘토 모리 카르페 디엠

    Date2020.08.19 Byskyvoice
    Read More
  14. 스물다섯번 째 이야기: Mens Sana in Corpore Sano

    Date2020.08.16 Byskyvoice
    Read More
  15. 스물네번째 이야기: 제국과 천국

    Date2020.08.01 Byskyvoice
    Read More
  16. 스물세번째 이야기: 예수가 결혼하였다면

    Date2020.07.21 Byskyvoice
    Read More
  17. 스물두번째 이야기: 사랑받은 나사로 남매

    Date2020.07.13 Byskyvoice
    Read More
  18. 스물한 번째 이야기: 아담을 원망한다

    Date2020.07.08 Byskyvoice
    Read More
  19. 스무번째 이야기: 수헤나 가족을 잃고서

    Date2020.06.29 Byskyvoice
    Read More
  20. 열아홉번째 이야기: 두건을 머리에 쓸지어다

    Date2020.06.27 Byskyvoic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