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하재원/ 공인 재정 상담가

 

 images (1).jpg

 

오늘은 많은 분들이 저금을 하기는 원하지만 어느곳에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잘몰라 차일 피일 미루기만 하는 것에 대하여 저금은 이렇게 하는 것이다라는 방향을 제시해 드리고자 합니다.

 

돈에 관해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 합니다.

들어온 돈을 일단 쓰고 남는 돈을 저금해 보려는 베짱이 같은 사람과 들어온 돈중에 일정 부분을 먼저 저금하고 나머지를 사용하려는 개미같은 사람입니다. 쓰고 남은 돈을 저금하려다 보면 항상 남는 돈은 커녕 그달의 생활비마저 모자랐던 경험들이 다 있으실 겁니다. 반면에 미리 적금이나 은퇴구좌등에 미리 떼어서 저금을 해도 그 한달을 잘 지낸 경우 또한 경험을 하셨을 것입니다.

 

재정을 잘 운영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핵심은 버는돈보다 쓰는돈이 많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잘 하기 위해서는 돈을 사용하기 이전에 먼저 저축부터 하는 것 입니다. 교회에 헌금이나 나라에 낼 세금은 따라서 미리 떼어 놓아야지 나중에, 나중에 하다가는 결국 낭패를 보게 됩니다.

 

따라서 우선 그 달의 수입에서 약 10% 정도를 미리 떼어서 저금을 하는 계획을 세우고 이 돈을 무작정 저금하는 것이 아니라  3가지 저금통으로 나누어서 저금을 해야 합니다.

 

1. 첫번째 저금통 – Emergency Fund

 

매월 저금을 할때 일정 부분은 이 구좌에 저금을 하는데 통상 약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생활비가 모아질때 까지 합니다. 이 구좌는 자동차 수리비, 불경기, 실직등 예상치 못한 재정적인 어려움이 생겼을때를 대비한 저금통입니다. 이와같은 저금통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당장 닥친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딧 카드, 홈에쿼티등 빚을 지게 되고 일단 빚이 발생되면 그 빚을 되갚기는 상당히 어렵게 됩니다. 그리고 이같은 부채는 원금만 상환하는 것이 아니라 이자까지 지급해야 함으로 재정난이 심화되는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 두번째 저금통 – Risk Management

 

축구 경기를 할때 공격진이 아무리 많은 골을 넣는다 해도 수비가 약해서 더 많은 골을 내 준다면 경기에 이길 수 없듯이 두번째 저금통은 예상치 못한 재난에 대비하는 일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의료보험, 생명보험, 불구보험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가장의 사망, 과도한 치료비등은 열심히 저축하여 풍요로운 미래를 꿈꾸는 가정에게 재정적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데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저금통 입니다.

 

3. 세번째 저금통 – Investment

 

은퇴자금, 학자금, 재산증식등이 이에 해당되는데 이 세번째 저금통은 현재 보다는 미래에 소용될 재정적 지출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 플랜 입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소유한 재산이나 잉여 수입이 3%-4%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에 잠식 당하지 않고 그 이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위에서 명시한 첫째, 두번째 저금통이 잘 마련된후에 발생하는 잉여 수입은 모두 이 세번째 저금통으로 저금을 하여 재산을 증식시키는 주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와같은 세가지 저금통을 마련한 사람은 웬만해서는 재정적인 어려움이 없게됩니다.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하면 첫번째 저금통인 Emergency Fund에서 꺼내쓰면 될것이고, 예상치 못한 사고나 질병이 발생했을 때는 두번째 저금통이 지켜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녀들의 교육비와 노후 은퇴자금은 세번째 저금통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저금을 안하는 것 보다는 저금을 하는 것이 좋고, 이왕 저금을 할 바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하는 것이 저금을 하는 보람을 극대화 시키며, 이러한 보람을 맛보아야 중단없이 꾸준한 저금이 가능합니다.  저금을 그냥 무턱대고 할 것이 아니라 오늘 제시한 3가지 원칙에 근거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각 가정에게 알맞는 체계적인 저축 방법을 도입하시기를 바랍니다.

    전화: 847-486-95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 김영언변호사의 법률칼럼 <2>-이민자를 위한 알파벳스프 2 file skyvoice 2013.05.08 2701
16 육길원의 시사칼럼-주류사회 참여 이제부터 시작이다 1 file skyvoice 2013.05.03 2127
15 이태영의 바둑 수업기(3) 위기십결 첫번 째:부득탐승 file skyvoice 2013.05.01 2440
14 남미선의 스마트폰 상식 (2)-아이폰의 구매와 사용법 file skyvoice 2013.04.25 1865
13 김영언 변호사 법률칼럼-고도를 기다리며 file skyvoice 2013.04.17 4781
12 나의 재정적인 성공을 방해하는 장애물 file skyvoice 2013.04.12 1840
11 남미선의 컴퓨터 상식-스마트폰 사용법 1 16 file skyvoice 2013.04.10 9801
10 여보 미안해 1 file skyvoice 2013.04.01 2422
9 웃음 보따리(1) 라면과 참기름의 싸움 1 2 file skyvoice 2013.03.30 3061
8 이태영의 바둑 수업기 (2) 1 file skyvoice 2013.03.29 2253
7 이태영의 바둑 수업기(1) file skyvoice 2013.03.28 2227
6 하재원의 재정상담 //비지니스와 우리 가정의 운명 file skyvoice 2013.03.26 4264
5 점점 느려지는 컴퓨터 이유가 무엇일까요?-남미선 file skyvoice 2013.03.20 2505
» 저금은 이렇게 합시다<1>/3가지 저금통 19 file skyvoice 2013.03.16 5275
3 암을 이기려면….<2> file skyvoice 2013.03.14 1587
2 세계에서 가장 긴 맘모스 동굴 (Mammoth Cave) 1 file 관리자 2013.01.28 5417
1 지성에서 영성으로 file 관리자 2013.01.28 195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