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188.170) 조회 수 35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랑.png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소설 <빙점>을 쓴 일본인 여류 소설가 고(故) 미우라 아야코의 남편 미우라 미쓰요 씨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일본 홋카이도 북부의 중심 도시 아사히카와(旭川)에서 아야코와 함께 지냈던 그

집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생전의 아야코가 밤늦게 앉아 소설을 쓰던 다다미방에서 그와 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에게 “사랑이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미쓰요 씨는 “사랑은 어떤 환경 속에서도 타인을

행복하게 해 주겠다는 의지.”라고 답했습니다. 울림이 있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란 질문에 많은 분들이 “사랑.”이라고 답했습니다.

저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에 소개된 17인의 멘토들도 한결같이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습

니다. 그런데 그들이 이야기하는 사랑은 추상명사가 아니었습니다. 살아 있는, 생생한 동사였습니다.

소설가 서영은 선생은 사랑을 동사로 표현하면 '치러 내다' 혹은 '감당하다'가 된다고 했습니다.

육신은 물론 마음까지 잡혀 주는 것, 상처 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 마음의 칼자루를 끝까지

내주는 것이 바로 '치러 내는' 사랑을 하는 사람의 특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자기가 다치게 됐을 때,

피하지 말고 그대로 당해 주는 것이 치러 내고, 감당하며, 피 흘리는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고은 시인은 “사랑이라는 말은 무진장 참고 참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을 때 한마디씩 나오는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물이 흐르다 막다른 벼랑에 미쳐 도저히 흐르지 못할 때에 아래로 쏟아져 버리듯,

사랑은 참다못해 폭발하는 언어가 되어야 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민주화운동을 하다 감옥에도 간

한완상 전 부총리는 사랑이야말로 모든 희망의 기초며, 죽음보다 강하다는 것을 체험적으로 알게

됐다고 했습니다.

멘토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사랑은 결코 함부로 남발될 언어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지금 치러 내는, 감당하는 사랑을 하고 계십니까?

- 이태형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 저자, 《국민일보》 선임기자)-

 

굿모닝~!!!!!

세상에서 가장 흔한 말이 사랑이면서 가장 바르지 못하게 쓰이는 말도 사랑입니다.

미개한 나리일수록 단어수가 많지 않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단어수가 많고 형용사 표현은 얼마나 다양한지 파생어까지 다루면 이 세상이라도

둘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사랑이라는 단어는 하나입니다.

영어의 근간이 되는 희랍어는 사랑을 네 가지로 표현합니다.

영화나 노래의 주제가 되는 남녀 간의 사랑을 표현하는 에로스가 있고,

부모와 자식 간의 혈연적이고 헌신적인 스토르게가 있으며,

친구나 이웃과의 다른 말로는 우정이라고 표현되는 필레아가 있고,

신이 우리를 사랑하는 아가페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사랑이라는 표현을 죽기보다 어려울 만큼 아끼는 분도 있고

어느 분은 너무 남발해서 이게 사랑인지 보통 명사인지 분간이 안 갈 정도인 분도 있습니다.

말을 아끼고  참다가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서 흘러나오듯 한마디 하는 사랑,

그런 마음으로 사랑해야겠습니다.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입니다.


  1. 이태영의 아침편지-행복을 끌고 미는 두 남자

    이태영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우리 아버지의 직업은 환경미화원, 남들 다 자는 꼭두새벽에 일어나 빗자루로 쓰레기가 널린 길을 쓸고, 음식물 쓰레기도 수거하십니다. 그러다 어떤 날은 음식물 쓰레기를 온몸에 뒤집어 쓰고 집으로 돌아오시는 경우도 있...
    Date2014.05.01 By이태영 Views2545
    Read More
  2. 아침편지-이태영//독자여러분

    아침 편지 독자 여러분 웹사이트 공사중이어서 그동안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곧 정상 운영됩니다. 감사합니다. 
    Date2014.04.29 By이태영 Views3168
    Read More
  3. No Image

    나를 살린 목소리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오랜만에 나를 찾아 준 대학 친구들과 실컷 음악을 들었다. 그런데 한 친구가 갑자기“야! 니 친구 노라 존스 얼굴 한번 보여 줄래?”라면서 노라 존스와 나와의 에피소드를 꺼냈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나는 세상이 끝난 ...
    Date2014.04.22 Byskyvoice Views2582
    Read More
  4. No Image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 사랑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소설 <빙점>을 쓴 일본인 여류 소설가 고(故) 미우라 아야코의 남편 미우라 미쓰요 씨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일본 홋카이도 북부의 중심 도시 아사히카와(旭川)에서 아야코와 함께 지냈던 그 집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
    Date2014.04.21 Byskyvoice Views3569
    Read More
  5. No Image

    겸손

    이태영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가장 좋은 '들음'은 나와 반대되는,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들은 내가 보지 못한 것을 보고, 내가 알지 못한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겸손이고 성숙의 지름길입니다. 내가 다 안다고 생각...
    Date2014.04.20 Byskyvoice Views2528
    Read More
  6. No Image

    부칠 곳 없는 편지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엄마가 이혼하고 집을 떠난 뒤 아버지와 할머니 앞에서는 '엄마'라는 단어를 말할 수 없었다. 그때 나는 열한 살, 겉으로는 아닌 척해도 엄마에 대한 그리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짙어 갔다.   그해 겨울 어렵게 외갓집 주...
    Date2014.04.19 Byskyvoice Views2439
    Read More
  7. No Image

    금과 빛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라디오를 듣는데 이런 말이 나왔습니다. "모든 것은 금이 가 있다. 빛은 그곳으로 들어온다." '아, 그렇구나. 빛은 상처를 통해 들어오는구나.' 빛은 삶에 금이 간 그곳, 상처나고 아파한 그곳을 통해 들어옵니다. 불안하고...
    Date2014.04.18 Byskyvoice Views2708
    Read More
  8. No Image

    달인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TV 프로그램 중에 '생활의 달인'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자신이 하는 일에서 '달인'이 되어 그 일을 열심히 하는 그들을 보면 재주 하나 없는 나는 부럽기만 하다. 오래 전에 LP ...
    Date2014.04.17 Byskyvoice Views2415
    Read More
  9. No Image

    곡선 인생

     아침 편지 -<곡선인생 >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계획한 대로 직선으로만 갈 수 있는 삶이 얼마나 있을까요. 곧게 뻗은 자작나무도 멋있지만, 굽이 휘어 자란 소나무가 더 정겹고 멋져 보입니다. 저도 한때 한길만 고집스럽게 달려온 적이 있습니다. ...
    Date2014.04.15 Byskyvoice Views2179
    Read More
  10. No Image

    가장 행복한 사람

    이태영 목사(하늘소리 문화원장)   아무리 돈이 많아도 할일이 없으면 불행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없으면 살맛이 나지 않습니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으면 사는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즐겨하며 사랑을 베...
    Date2014.04.14 Byskyvoice Views26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64 Next
/ 6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