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의 묵상-성취감

    행복은 자신이 적시 적소에 있을 때 온다고 설명합니다. 적시는 열정과 몰입이 만들고 적소는 도전으로 다다릅니다. 인생이 애초에 세운 계획대로 되지 않은들 어떠하랴, 무술 대회가 보고 싶어 담을 뛰어넘은 국수 장수 팬더는 중원을 구하는 영웅이 되고, ...
    Date2014.09.06 By관리자 Views5315
    Read More
  2. 오늘의 묵상-지혜

    고난과 지혜는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난을 잘못 이해하는 것에서 잘못된 지혜가 생겨나듯 의미 있는 고난을 직면하여 받아들임을 위해 하늘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노예 근성이 뿌리를 내려서 노예의 시각으로 살아가던 이스라엘 사람들은 눈앞에 닥...
    Date2014.09.08 By관리자 Views7866
    Read More
  3. 오늘의 묵상-기도와 희생

    기도는 모든 능력과 생명이 지나가는 강력한 통로입니다. 고난의 땅에서 지혜의 빛이 비추이는 곳은 기도의 자리뿐 입니다. 기도는 책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무릎과 눈물로 알아 가는 것입니다. 기도는 고난과 지혜의 문제입니다. 고난은 우리가 기도할 수 ...
    Date2014.09.09 By관리자 Views5125
    Read More
  4. 오늘의 묵상-내실 있는 삶

    거장들의 작품은 시간이 흐를수록 작아지고 단순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장욱진 화백을 꼽을수 있죠. 그의 말년의 작품은 작아지고 또 작아져서 마치 어린아이의 그림처럼 간결해졌습니다. 왜 큰 그림을 그리지 않느냐는 질문에 장욱진 화백...
    Date2014.09.10 By관리자 Views5410
    Read More
  5. 오늘의묵상-진정한 사랑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 속 브루스는 불평이 많은 남자였습니다. 하나님을 향해서 "당신은 무능하다"고 외칠 정도로 말이죠. 하나님은 휴가를 가면서 당신의 역할을 대신 맡겼죠. 브루스때문에 세상이 뒤죽박죽 되어버린 와중에 그는 사랑하는 여자마저도 잃...
    Date2014.09.11 By관리자 Views5190
    Read More
  6. 오늘의 묵상-인문학

    지난 몇해 사이에 '인문학' 붐이 정말 거세게 일었습니다. 도처에서 인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누군가는 인문학을 사람과 삶에 던지는 궁금함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라는 집단으로만 살던 삶에서 개인으로 돌아와 나를 찾는 과정이라...
    Date2014.09.12 By관리자 Views5646
    Read More
  7. 오늘의 묵상-낮은 문

    오래된 유적이나 옛 서원들의 문틀은 아주 작아서 겸손하게 고개를 숙이지 않으면 머리를 부딪히기가 쉽습니다. '머리조심'이라는 경고문은 항상 머리를 찧고 나서야 발견이 되곤하죠. 크고 높은 문, 높은 천장에 익숙해져서 뻣뻣해진 우리에게는 낮은 문이 ...
    Date2014.09.13 By관리자 Views5545
    Read More
  8. 오늘의 묵상-희망

    따뜻해 보이는 사람은 많지만 정말 따뜻한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착해 보이는 사람은 많지만 정말 착한 사람은 그보다 많지않죠. 행복해 보이는 사람은 많지만 정말 행복한 삶을 누리는 사람도 생각만큼 많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
    Date2014.09.14 By관리자 Views5306
    Read More
  9. 오늘의 묵상-보다 더 나은 일

    황량한 곳에서 살아온 민족들은 오히려 상상력이 뛰어납니다. 수많은 이야기, 그리고 밤하늘의 별자리도 사막의 목동들이 만든것이었죠. 사막에 살던 사람들은 간절한 마음으로 화분을 만들었습니다. 어디로 이동을 하든, 자신의 정원을 가지고 갈수 있기 때...
    Date2014.09.15 By관리자 Views6047
    Read More
  10. 오늘의 묵상-과학과 예술

    뇌 과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쓴 글이 있습니다. 이 과학자는 뇌를 이해한다는 것은 하나의 풍경화를 그리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복잡한 뇌 속에서 이루어지는 미묘한 우리의 생각들이 마치 투명한 가을 하늘처럼 학자에게 그려진다는 것이죠. 학자로서 뇌 ...
    Date2014.09.16 By관리자 Views5891
    Read More
  11. 오늘의 묵상-순간의 때

    산은 아무리 크더라도 한 눈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지만 강물은 한 눈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시작부터 끝까지 그 강물의 흐름을 다 파악할 수 없어서 인디언들은 강을 부분으로 나누어 이름을 지어준다고 하죠. 하나의 강물을 공유하는 유럽의 나...
    Date2014.09.17 By관리자 Views5854
    Read More
  12. 오늘의 묵상-작은 능력

    엄청난 현장을 담아야 하는 르포 작가들은 그 상황을 제대로 전하기 위해 아주 작은 것에 주목한다고 합니다. 작은 물건들의 특징이나 인터뷰어의 버릇, 혹은 공간의 작은 소품같은 것으로 전체를 파악할 힌트를 주는 것이죠. 그렇게 작은 것에서 시작하는 건...
    Date2014.09.18 By관리자 Views4583
    Read More
  13. 오늘의 묵상-미래 설계

    한 사람이 평생의 소원인 집짓기를 시작했습니다. 어렵게 한 건축가를 만나서 집짓기를 시작하게 됐는데 건축가는 엉뚱하게도 어떤 집을 짓고 싶은 지를 글로 적어보라는 그런 숙제를 내줬다지요. 그는 건축가에게 이런 글을 써서 보냈습니다. 바람이 잘 통하...
    Date2014.09.19 By관리자 Views5721
    Read More
  14. 오늘의 묵상-쉼표

    멀리 가기 위해서는 천천히 걸어야하고 오래 걷기 위해서는 적절한 순간에 쉬어 줘야 합니다. 좋은 문장을 쓰려면 쉼표가 적절히 자리잡아야 하죠. 그리고 잠수를 아무리 잘하는 사람이라도 물 속에서 나와서 숨을 크게 들이 쉬어야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영...
    Date2014.09.20 By관리자 Views5070
    Read More
  15. 오늘의 묵상-어리석음

    어떤 사람이 신과 인터뷰하는 꿈을 꿨습니다. "인간에게 가장 어리석은 점이 무엇인가요?"하는 질문에 신은 이런 대답을 들려주죠. 어린시절이 지루하다고 서둘러 어른이 되려고 하는 것 그리고는 다시 어린시절로 되돌아가길 갈망하는 것 돈을 벌기위해 건강...
    Date2014.09.21 By관리자 Views5360
    Read More
  16. 오늘의 묵상-방향

    축구경기에선 끝날때까지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합니다. 골문 앞에서 골키퍼와 슈터가 마주보는 상황이 펼쳐지면 골키퍼에게는 골문이 너무 넓게 느껴지고 슛을 해야하는 선수에게는 골문이 좁아 보이겠죠. 한때 축구황제로 불렸던 브라질의 전설적...
    Date2014.09.22 By관리자 Views5376
    Read More
  17. 오늘의 묵상-위대한 비밀

    경영학의 대가 하워드 스티븐슨 하버드대 교수는 성공의 비결을 아이들에게서 발견했습니다. 아이들은 당장 해야할 일이 뭔지 알고 그것에만 몰입하기 때문에 결국 차례차례 원하는 것을 얻게 된다고 말하죠. 하워드 스티븐슨 교수는 세상 모든 사람에게 당부...
    Date2014.09.23 By관리자 Views5680
    Read More
  18. 오늘의 묵상-기다리는 법

    이란의 영화감독 아파스 키아로스타미는 영화를 찍을 때 마음가짐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난 영화를 찍을때 낚시를 하는 사람처럼 오래 기다린다."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노력하는 것 이상의 결과를 기대하지않고, 소박하게 인생의 목적은 모든 것을 다 해...
    Date2014.09.24 By관리자 Views5284
    Read More
  19. 오늘의 묵상-응원단의 함성

    축구를 좋아하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에는 상위권팀과 하위권 팀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습니다. 하지만 하위권팀이 아무리 성적이 나빠도 관중석에는 언제나 응원단이 자리를 꽉 채우고 있죠. 상대팀에 몇골을 허용하며 질때도, 응원단은 ...
    Date2014.09.25 By관리자 Views5391
    Read More
  20. 오늘의 묵상-충만한 감성

    머리가 좋아지는 훈련법이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그중에 가장 좋은 훈련법은 책읽기, 말하기, 글쓰기라고 합니다. 책읽기, 글쓰기는 좀 멀어도 말하기는 가까이 있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생각나는대로 말하는 것과 그 안에 통찰을 담은 말하기는 좀 다르다고 하...
    Date2014.09.26 By관리자 Views56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3 Next
/ 33
CLOSE